전체 글

전체 글

    EAI / MQ

    유통회사의 경우, 큰 곳이라서 가맹지원(본사직원용: 기준데이터, 발주재고관리, 매출data 등) / 점포경영(점장용) 별로 데이터베이스가 따로 있음.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애플리케이션 통합을 위한 기술) 서로의 데이터를 동기화 시켜주기 위해 MQ를 많이 사용한다. (MQ(Message Queue)로 데이터를 주고 받아 동기화시킴. 상용 IBM MQ / 오픈소스로는 rabbit MQ, active MQ등이 있음.) 그냥 queue로도 메시지들을 주고받을 수 있지만 이런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유는 단순 메시지 전달이 아닌 받지 못하는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정보가 유실되지 않게 정보전달을 잠시 중단하고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는 조건이 될때까지 기다리는 등..

    POSTMAN 사용법

    POSTMAN 사용법

    POSTMAN 사용이유_ 프론트와 백엔드가 분리된 상황에서 백엔드의 API를 임의로 호출해 필요한 값을 넘겨줘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법_ 1. Workspace > 개인프로젝트 > New Collection -> Add a Request 2. request에서 Http Method(get,post,put,delete)을 골라 호출할 api 주소를 입력한다. (ex_ http://localhost:8080/api/name) 3. Headers에 보낼 데이터 타입 혹은 받을 데이터타입을 입력. ex_ json -> key = Content-Type / value = application/json;charset=UTF-8 4. Body 에 선택한 형태의 데이터를 채워보낸다. 혹은 매개..

    'v-slot' directive doesn't support any modifier.

    'v-slot' directive doesn't support any modifier.

    vscode도 js로 만들어져있기때문에 vscode setting값을 조정할때 settings.json 파일에서 설정값을 추가할 수 있다. 없다면 임의로 내부에 만들어 추가하면된다. 저건 vueter의 설정값때문에 오류가 아니지만 display로 오류를 보여주는 건데 동작하는데는 문제가 없다. 따라서 위에처럼 .vscode 폴더 안에 settings.json 파일을 만들어 다음과 같은 veuter설정을 추가해주면 거슬리던 오류들이 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