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자료구조 기초 + 코테
1. int vs long 조합, dp, 경우의 수, 순열, 큰 수 계산 등의 문제에서 30억 이상의 길이가 생길 수 있음으로 int가 안먹힐 수 있음 long을 써주는 것이 더 정확. 2. scanner vs stringBuilder 3. ++i vs i++ (전위 연산자 vs 후위 연산자) i = 0 A[++i] = 10; => i가 먼저 올라가서 A[1] 에 10 이 저장. A[i++] = 10; => i가 나중에 올라가기 때문에 A[0]에 10이 저장된 후 A[1]로 증가. 4. 오름차순 vs 내림차순 - 오름차순정렬 Int A[] = {5,4,3,2,4,1}; Arrays.sort(A);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 => {1,2,3,4,5} - 내림차..
![[spring] annotation 정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my8tt%2FbtrGKcFSDl7%2FAAAAAAAAAAAAAAAAAAAAADl-x_xJkYavHF6_oWj4YqZM-fY6COPptq1uCRGb8vH6%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kZPm2PKxVYTf5zrZVwtfX%252BJNe0Q%253D)
[spring] annotation 정리
@restController -> response는 objectMapper를 사용해 json형태로 전달됨. @Around : 해당 controller 지정가능. @pointcut : 실행서비스 명으로 구분해서 실행을 묶어 지정가능. @SpringBootApplication @PostConstruct @PostConstruct, @PreDestory 애노테이션 특징 - 최신 스프링에서 가장 권장하는 방법이다. - 애노테이션 하나만 붙이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 패키지를 잘 보면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이다. 스프링에 종속적인 기술이 아니라 JSR-250 라는 자바 표준이다. 따라서 스프링이 아닌 다른 컨테이너에서도 동작한다. - 컴포넌트 스캔과 잘 어울린다. - 유일한 ..
[React] 별코딩 강의모음
⚛️ useState 15분만에 마스터하기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G3qglTF-fFI&t=0s ⚛️ useEffect 깔끔하게 마스터하기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kyodvzc5GHU&t=0s ⚛️ useRef 완벽 정리 1# 변수 관리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VxqZrL4FLz8&t=0s ⚛️ useRef 완벽정리 #2 DOM 요소 접근 (영상) https://youtu.be/EMK8oUUwP5Q ⚛️ useContext + Context API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LwvXVEHS638&t=0s ⚛️ useMemo 제대로 사용하기..
![[React] Redux 개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unbvv%2FbtrFoPkGRDn%2FAAAAAAAAAAAAAAAAAAAAAFMvLqkBmCTXbNv0ywXkOB4UNnMwFKAelfy83d0TKKEj%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nwCc79%252BjCJQGKxSOsjl20N69sUY%253D)
[React] Redux 개념.
vue처럼 배경 component(부모) 에서 자식 component로 data를 porps해줘야하는데 매번 props를 하기 힘들때 사용하는 게 Redux라는 개념이다. Redux가 뭘해주는데? 그놈의 상태관리..... 여러 컴포넌트들이 하나의 값을 공동으로 수정할 때 Redux로 하나의 js에서 그 값을 관리하도록하는 것. component 들이 수정을 요청하면 store.js에서 값이 조정된다. => state 관리가 용이하다 = 값을 한 곳에서 관리가 가능. 마치 전역변수같은 느낌이 든다. Redux 구현방법 index.js _ state 관련 기능을 정의하고 이곳에서 상태를 계속 변경시킨다. // index.js 여기에 state 수정방법을 정의해놓음. import {Provider} fr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