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Til]doNotFilter _ filter 예외처리

    https://2step-hyun.tistory.com/112 Spring으로 개발하며 맞닥뜨린 CORS! 앞서, CORS에러 문제 해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CORS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해당 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CORS란? 교차 출처 2step-hyun.tistory.com

    신용카드 결제방식 _otc 결제토큰

    https://www.youtube.com/watch?v=SvmKMB9CgxM

    [Read it] 20220919

    1. jenkins 로 git 프로젝트 빌드자동화 https://mysql.tistory.com/26 젠킨스(Jenkins)로 Git 프로젝트 빌드 자동화하는 방법 enkins : 빌드, 테스트, 배포 등 모든 것을 자동화해주는 자동화 서버 build : 컴파일을 포함해 war, jar 등의 실행 가능한 파일을 뽑아내기까지의 과정 release : 같은 제품을 새롭게 만드는 것 deploy : 애 mysql.tistory.com 2. 멀티클라우드 vs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computing/what-is-multicloud 멀티클라우드(multicloud)란 무엇일까요? 멀티클라우드(multicloud)란 무엇일까요? 멀티클라우드의 뜻과..

    [Read IT Today] 20220914

    0914. development article list. 1. MockMvc RestTemplate의 응답 type을 왜 utf-8로 디코딩해야하는가를 찾다가 보게 됨. 단위테스트용도로 쓰는 것같다. 컨트롤러 테스트를 하고싶을 때 실제 서버에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을 올리지 않고(실제 서블릿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테스트용으로 시뮬레이션하여 MVC가 되도록 도와주는 클래스! https://velog.io/@jkijki12/Spring-MockMvc [Spring] MockMvc 공부하자!! MockMvc가 뭔데!! velog.io 2. RestTemplate의 응답 type을 왜 utf-8로 디코딩해야하는가, url 이중인코딩 이슈. https://findmypiece.tistory.com/176 Uri..

    wsl2 설치 및 도커설치

    https://www.44bits.io/ko/post/wsl2-install-and-basic-usage#wsl2%EC%97%90%EC%84%9C-%EB%8F%84%EC%BB%A4-%EB%8D%B0%EC%8A%A4%ED%81%AC%ED%83%91docker-desktop-for-windows%EC%9C%BC%EB%A1%9C-%EC%84%9C%EB%B2%84-%EC%8B%A4%ED%96%89%ED%95%98%EA%B8%B0 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 2) 설치 및 사용 방법 지난 5월 윈도우10의 대규모 업데이트가 있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는 WSL2 정식 릴리스가 포함되어있습니다. WSL은 경략 가상화 기술을 통해 윈도우에서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할 수 있게 도와 www...

    DeadLock 피하기_커넥션풀 설정과 스레드 개수

    참고 | https://velog.io/@miot2j/Spring-DB%EC%BB%A4%EB%84%A5%EC%85%98%ED%92%80%EA%B3%BC-Hikari-CP-%EC%95%8C%EC%95%84%EB%B3%B4%EA%B8%B0 [Spring] DB커넥션풀과 Hikari CP 알아보기 실무환경에서 DataBase 성능 최적화 및 ORM에 대해 이야기 할때 커넥션풀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여 한번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아 정리한 포스트 입니다. velog.io DeadLock 피하기 이론적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커넥션 풀 사이즈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PoolSize = Tn × ( Cm -1 ) + 1 Tn : 전체 Thread 갯수 Cm : 하나의 Task에서 동시에 필요한 Connection 수..

    SSL Exception 해결하기. 500에러

    SSL Exception 해결하기. 500에러

    SSL이란 무엇인가요? 웹사이트 보안을 위한 방법, SSL이란? (feat. SSL과 HTTPS의 차이)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웹사이트 보안을 위한 방법, SSL이란? (feat. SSL과 HTTPS의 차이) 안녕하세요! 알기 쉽게 풀어쓴 보안 '알풀보'입니다. '알풀보'는 어려운 보안 용어와 ... blog.naver.com SSL(Secure Sockets Layer)은 암호화 기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인터넷 통신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Netscape가 1995년 처음으로 개발했습니다. SSL은 현재 사용 중인 TLS 암호화의 전신입니다. SSL/TLS를 사용하는 웹사이트의 URL에는 "HTTP" 대신 "HTTPS"가 있습니다. SSL/TL..

    jackson 으로  json값 주고 받기 (+ gson)

    jackson 으로 json값 주고 받기 (+ gson)

    json은 왜 사용할까? JSON 의 목적은 이기종 간의 데이터 교환이다. 앱 ↔ 서버 / 자바 ↔자바스크립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데이터통신은 데이터를 byte형태로 전달하기때문에 굳이 json이 없어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지만, 우리는 누군가와 개발을 같이 하기때문에 상대방이 데이터를 알아볼 수 있도록 json 혹은 xml 처럼 공식 데이터 포맷으로 값을 주고 받아야한다. 초반에는 xml을 사용했지만 html의 대크구조로 크기가 무겁고 복잡해져 최소한의 용량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가독성이 좋으며 특정언어에 종속되지 않은 Json을 사용하게 된것이다. Spring에서 json으로 값 주고받기 spring에서 json값으로 http통신을 하고 싶을 때 값을 전달하거나 받을때 jackson 혹은 gso..